1학년
-
-
-
딥러닝 교양 시험 필기!1학년/딥러닝 공부 2022. 12. 19. 16:58
엥간치 개념은? deep한 개념말고 수박 겉햝기 정도는 익혀졌다 ! 교양시험이 있으니 뭐라도 하게되는구만 : D Mnist 미국 국립 표준기술원이 고등학생과 인구조사국 직원 등이 쓴 손글씨를 이용해 만든 데이터. 케라스를 이용해 MNIST 데이터셋 간단히 불러오기 가능 mnist.loat_data() 로 사용할 데이터 불러오기 from keras.datasets import mnist 학습 부분 > train, 테스트 사용 > test #학습 데이터, 테스트 데이터 불러오기 (X_train,Y_train),(X_test,Y_test) = mnist.load_data() 프레임워크 > 응용 프로그램 개발위한 여러 라이브러리 , 모듈 등을 묶어 놓은 패키지 텐서플로 > 구글이 개발한 오픈소스sw 라이브러리,..
-
[파이썬 코테 대비 동아리]_개념을 공부하자"이진트리편"1학년/파이썬 공부 2022. 11. 30. 09:14
빡치게 사진도 안 올라가고 무한 글...되네..노션 아놔 📌이진트리? 트리의 각 부분의 명칭과 용어(나무위키!에서 긁어옴) : 트리 ? 부모 노드 밑에 여러 자식 노드가 연결되고 다시 자식 노드가 연결되는 재귀적 형태의 자료구조. 그러나 자식 노드의 자식이 부모로 연결되는 경우는 트리로 인정하지 않음. 이진 트리 부모 노드 밑의 자식 노드 개수를 최대 2개로 제한하는 트리의 가장 간단한 형태. 보통 자식 트리를 서브 트리라고 하는데, 이 서브 트리는 공백이 될 수 있음. https://kingpodo.tistory.com/27 위 트리를 해석… 해보자면 자식 트리가 없는 리프 노드는 D, H, F, I이며 노드 E와 G는 공백이 아닌 서브 트리를 하나씩 가지고 있다. 참고로 이진 트리에서 https://..
-
[파이썬 코테 대비 동아리]개념을 공부하자_BFS,DFS편1학년/파이썬 공부 2022. 11. 28. 14:04
BFS? DFS? : BFS : Breadth-First Search, 너비 우선 탐색 DFS : Depth-Fisrt Search, 깊이 우선 탐색 그래프를 탐색하는데 쓴다. 그래프는 노드(node)와 엣지(edge)로 이루어진 자료구조의 일종인데, 트리와는 차이가 있다. 방향성 = 그래프는 방향과 무방향 모두 가능하지만, 트리는 방향 그래프만 존재한다 사이클 = 그래프는 순환, 사이클, 비순환 모두 존재하지만, 트리는 모두 불가능에 비순환만 존재한다. 부모 자식 = 그래프는 부모-자식 개념x 트리는 있다. 순서 존재 예를 들어 그래프는 지도, 지하철 노선도 정도고, 트리는 이진 트리 , 이진 탐색 트리 정도?로 보면 된다. 진짜 간단하게 말하면 그래프 중에서 방향성있는 비순환 그래프가 트리이다. DF..
-
[파이썬 코테 대비 동아리]개념을 공부하자_DP편1학년/파이썬 공부 2022. 11. 28. 14:03
DP란 무엇인가? : DP = Dynamic Programming. 동적 계획법이라고 한다. 큰 문제를 작은 문제로 나누어 푸는 문제이다. 큰 문제를 작은 문제로 나누는 문제인데 왜 “동적”이란 말이 붙었는가 하면,,, 멋있어서 부여했다고 한다 ㅋㅋ Divide and Conquer과 비슷한데, Dynamic Programming과의 차이점이라 하면 중복의 유무이다. 분할 정복은 그냥 큰 문제를 나누어 푸는 개념이라 하나의 답을 이전에 찾았어도, 같은 문제가 있으면 이전 답을 참고하지 않고 다시 푼다. 하지만 DP는 이전 답을 참고해서 문제를 풀어나간다. 또 그리디와의 차이는 최적해의 유무이다. 그리디는 최적해가 안 나올 수도 있지만, DP는 항상 최적해가 나온다. DP의 방법? : 중복되는 문제가 없어..
-
[파이썬 코테 대비 동아리]개념을 공부하자_"그리디"편1학년/파이썬 공부 2022. 11. 10. 15:07
그리디 그리디 ? : Greedy ( 탐욕 ) . 닉값하는 알고리즘이다 다른 건 다 모르겠고 현재 동작하는 곳 에서 최선의 선택을 하는 기법이다. 최적해를 구하는 데에 사용되는 근사적인 방법이다. 그리디를 적용하기 위한 2가지 조건 : 1. 탐욕적 선택 조건 / 2. 최적 부분 구조 조건 / 3. 상위 값 하위 값 배수 조건 < 이 세 가지를 만족 해야한다. 탐욕적 선택 속성이란, 앞의 선택이 이후의 선택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조건이며 , 그리디한 선택이 항상 최적해를 보장해야 한다는 것이다. 최적 부분 구조 조건은, 문제에 대한 최종 해결 방법은 부분 문제에 대한 최적 문제 해결 방법으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그리디 알고리즘으로 풀어낸 해는 모든 경우의 수에서 최적이어야 한다. 또한 주어진 상..
-
[파이썬 코테 대비 동아리]_개념을 공부하자”완전탐색”편1학년/파이썬 공부 2022. 10. 11. 15:25
완전 탐색 알고리즘? : 가능한 경우의 수를 모두 조사해서 정답을 찾는 방법. Brute Force라고도 부른 다. 직관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기초적인 방법이다. 4자리의 비밀번호를 찾겠다 하면 모두풀려고 시도하는 거! 완전 탐색 알고리즘의 동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의 가능한 경우의 수를 대략적으로 계산 가능한 모든 방법을 모두 동원 실제값을 구함 간단하다! 완전 탐색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Brute Force 백트래킹( Backtracking ) 순열 ( Permutation ) 비트 마스크 ( Bit Mask ) 재귀 함수 DFS /BFS 먼저 Brute Force 기법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조건문을 통해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를 시도하는 방법이다. 위에서 설명한 방법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