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증과 식별, 계정관리, OTP2학년/이모저모 2023. 5. 2. 15:39
계정 관리 차원에서의 보안이다.
시스템에 로그인 하려면 아이디로써 누군지 알려야하는데 이를 식별(identification)과정이라고 한다.
보통 생체 인증을 사용하지만, 시스템 상에서 생체인증을 활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인증(authentication)을 요청한다.
식별 ( identification )
인증( authentication )
인가( authorization )
의 차이를 알아야한다.
식별은 자신이 누군지를 알리는 것.
인증은 알린 자신이 맞다는 것을 확인하는 과정.
인가는 사이트를 자신이 이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다.
보안의 네 가지 인증으론
1. 알고 있는 것 : 머리속에 기억하고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수행
2. 가지고 있는 것 : 신분증이나 OTP장치
3. 자신의 모습 : 홍채 같은 생체 정보.
4. 위치하는 곳 : 접속 시도 네트웍의 적절성이나 콜백을 이용하여 신원 확인.
OTP장치?
One-Time Password로써, 접속시마다 필요한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그 번호를 통해 사용자를 인증하는 것이다.
난수 발생기에 현재 시간을 넣어 비밀번호를생성한다. 과거에 엄마가 가끔 은행카드 가져오라하면
뒷면에 막 숫자가 많았는데, 그게 보안카드라고해서 은행 인터넷 뱅킹시 그 카드 뒷면의 번호에 해당하는 4자리 숫자를 입력하게끔하는...아날로그적인 방법이었다고 한다. 이는 이제 스마트폰을 이용한 OTP로 바뀌었다. 네이버 OTP의 경우에도 네이버 로그인시 스마트폰으로 인증번호를 보냄. 나임을 증명하는 수단이 스마트폰이 된 것 뿐이다.
OTP는 기술적으로 볼 때, 매우 안전한 기술이라고 한다. 비밀번호가 고정적이지 않은 데다, 시간제한까지 걸려있어 쉽지않다. 거기다 입력한 키 값은 암호화 처리되기 때문에 더욱 안전하다.
but...문자로 인증 할 경우 비용이 들며, 이메일로 인증 할 경우 웹 기반 서비스이기때문에 크리덴셜 위험도 있다는 것!
One Time Password(OTP)의 개념 및 동작방식. LDAP을 활용한 OTP 인증. - DSMENTORING
안녕하세요. 컨설팅사업본부 김현우 대리라고합니다. 이번 글에선 OTP에 대한 개념 및 동작방식, LDAP을 통한 OTP 인증 구성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해보고자 합니다. 먼저 OT
ldap.or.kr
블로그를 보면 OTP의 동작방식을 알 수 있다.
이해 한 것을 적어보자면, OTP는 값을 생성하는 방식에 따라 HOTP와 TOTP으로 나눌 수 있다.
HOTP는 HMAC을 기반으로 한다. HMAC = Hash + MAC으로
송수신자 사이 비밀키가 존재하며 이는 키교환 알고리즘을 통해 교환된다. MAC은 비밀키로 메시지를 해시화하여 메시지 뒤에 붙인다.이때 메시지의 기밀성은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Hash알고리즘에 의해 Hash화 한다.HMAC값과 MAC값을비교하여 확인하는 방식이다.
으람지러담랴ㅓㅔ 모르게썽요......................
사실은 모르겠스빈다....이해못했습니다,...........................................
셤 끝난지도 얼마 안됐는데 이거는 담에 기회가 된다면...알아보면 안될까요...
됩니다!
...........
728x90'2학년 >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JWT, JSON (0) 2023.06.29 콜백 (0) 2023.05.02 Gamma - ai가 만들어주는 ppt!웹페이지! 문서! (0) 2023.04.19 Apache HTTP Server (0) 2023.04.15 Telnet (1) 2023.04.15